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김형익5

요한복음 16:25 - 33 설교 모음 요한복음 강해 (110) - 환난 중에 평안을 누리는 믿음 /요16:25-33/ 김형익 목사2021-05-08 16:45:30 1. 믿음에 대한 오해: ‘쎈 믿음’, ‘약한 믿음’믿음이라는 말보다 더 중요한 말이 있을까요? 문제는 믿음에 대해서 자기 나름대로 생각하기가 참 쉽다는 것입니다. 성경 전체가 그렇지만, 특별히 요한복음은 우리에게 믿음에 대한 오해들을 많이 교정해주면서 바른 믿음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고 뿐만 아니라 이 바른 믿음을 가지게 하려는 의도로 기록된 성경입니다. 종종 우리는 '아무개는 믿음이 좋다' 혹은 '아무개 권사의 믿음은 쎄다'하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이것이 무슨 의미입니까? 그 사람이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잘 들어주신다는 말입니까? 그 사람의 기도는 다른 사람보다 효험이 있다는 것.. 2024. 6. 10.
요한복음 8:37 - 47절 설교 모음 하나님께 속한 자 /요8:37-47/ 조학환목사 2023-01-01 14:39:41 자유란? 내 마음대로 하는 것? 아니다. 죄를 행할 수 있는 자유는 아무에게도 없다. 참 자유란 죄와 사망의 권세에서 벗어나 진리 안에서 바르게, 기쁨으로 감사함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선과 의와 진리와 말씀을 향해 가면서 기뻐하고 감사하고 찬양하고, 뿌듯해 하고, 만족해하고 이게 진짜 자유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진리안에서 기쁨으로 주님과 동행하자. 마음껏 감사, 영광, 찬양, 말씀, 기도 생활. 감사와 기쁨으로 주님과 주님의 몸된 교회를 섬기자. 오늘도 계속되는 유대인들과의 변론.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우리는 원래 자유인이다. 너희는 죄의 종이다. 그러면서 그들은 혈육적으로는 아브라함의 자손이지만 영적으로는 .. 2023. 9. 5.
요한복음 1:1 - 14절 설교 모음 어둠에서 빛으로 나아오라 /요1:1-18/ 유기성목사 2022-02-17 10:09:13 김다위 목사님과 함께 주일 설교를 하게 되어 본문으로 어떤 성경을 택할까, 생각할 때, 바로 떠오른 성경이 요한복음이었습니다. 교인들이 설교자가 누구인가에 신경 쓰지 않고 예수님을 주목하게 하는 성경이기 때문입니다. 요한복음이 제게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만나고 친밀히 동행하는 삶을 사는 눈을 열어준 성경입니다. 처음에는 예수님이 제 안에 계시다거나, 예수님을 인격적으로 만난다거나 친밀히 동행하라는 말이 너무 힘들게 여겨졌습니다. 아니, 예수님은 2,000년 전 성육신하셔서 이 땅에 태어나셨다가 십자가에서 죽으셨고 부활 승천하셨는데, 지금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 이해도 안 되고 믿어지지도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지금 하나.. 2022. 12. 24.
고린도전서 15장 설교 모음 기독교 신앙이 서고 넘어지는 그리스도의 부활. /고전15:12-19/ 김형익 목사 2021-05-10 00:17:06 1. 그리스도의 부활이 없으면 기독교의 모든 것은 다 무너진다. 기독교 복음에 대한 가장 압축적인 진술인 고린도전서 15:3~4은 복음의 바뀔 수 없는 내용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으심과 부활이라고 증거합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으심을 믿는다고 하더라도 그리스도의 부활을 부인한다면 그것은 성경이 말하는 참된 믿음일 수 없습니다. 본문은 그리스도의 부활이 기독교 신앙의 서고 넘어지는 핵심이라고 가르칩니다. 그는 이것을 가정법의 형태로 표현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만일 다시 살지 못하셨으면 우리가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또 너희 믿음도 헛것이며 또 우리가 하나님의 거짓 증인으로 발견되리니”라.. 2022. 10. 19.
요한계시록 20장 11절 이하 최후의 심판 설교 모음 천년왕국A /계20:1-3, 막3:27, 히2:14/ 김형익 목사 2021-05-21 03:41:09 1. “본질에는 일치를, 비본질에는 관용을, 모든 일에는 사랑을!” (행 17:11) “본질에는 일치를, 비본질에는 관용을, 모든 일에는 사랑을!”(In essentials Unity, In Non-Essentials Liberty, In All Things Charity.” 5세기의 신학자 어거스틴의 말입니다. 기독교회 안에는 비본질적인 문제들에 대한 불일치가 존재합니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근거하여 신앙의 내용을 가지게 되지만, 성경을 해석하는 입장 차이에 따라 교리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말씀입니다. 가령, 장로교회가 유아세례를 믿고 시행하는가 하면, 침례교회는 유아세례를 부정하고 당사자의 신앙고.. 2022. 10. 11.
728x90
반응형